다른 카탈로그

이전 페이지로

  • 연구용역보고서

  • 2009-2010

  • 주요 생물자원의 유전자 분석·연구IV: 동물 : 멸종위기 생물종 16종 대상

  • 주요 생물자원의 유전자 분석 연구 V 10년도 멸종위기생물종의 유전체 연구

  • 한반도 생물다양성 기원규명( 한반도 주요 생물군 계통수 작성 동물-척추동물, 곤충, 무척추동물)

  • 2011

  • 나고야의정서 대응 국내 이행 필수사항 연구

  • 야생생물자원 동결보존기법 개발 : 무척추동물 : 야생곤충 중심

  • 천연물 추출을 위한 생체시료 확보 [1단계 1차]

  • 2012

  • 생물산업 원천소재 활용성 증대를 위한 야생생물 유전자원 확보 용역사업 (2012년)

  • 생물자원 발굴·분류 기반 구축을 위한 종자 발아 특성 연구 (1단계 1차년도)

  • 식물자원 보존과 활용성 증대를 위한 한반도 야생식물 종자확보 2011(1단계1차년도)

  • 장수하늘소 증식·복원 연구(III)

  • 장수하늘소 증식·복원 연구(IV)

  • 전통지식 유래 한·중·일 약용식물 이용 실태조사 및 현황분석

  • 천연물 추출을 위한 생체시료 확보사업(1단계 2차년도)

  • 특수잠수기술을 이용한 미 탐사지역의 생물자원 조사 발굴

  • 한국 적색자료집 발간 연구(연체동물)

  • 2013

  • 2012 식물자원 보존과 활용성 증대를 위한 한반도 야생식물 종자확보(1단계2차년도)

  • 멸종위기 맹금류 증식·복원 연구(Ⅲ)

  • 생물자원 발굴·분류 기반 구축을 위한 종자 발아 특성 연구 (1단계 2차년도)

  • 한강하류의 식물플랑크톤 도감 발간 [최종보고서]

  •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 (조류균류분야) : 3단계 2차년도

  • 한국산 거미목의 분포지 발간 [최종보고서]

  • 한국 적색자료집 발간 연구-곤충 II, III 분야

  • 2014

  • 14년 자생생물 전통지식 조사·연구(경북II - 소백산 주왕산 국립공원 일대, 충남지역 Ⅱ - 계룡산 태안해안국립공원 일대)

  • 2013년 동남아시아 생물다양성 보전 연구

  • 2014년 동북아시아 생물 다양성 보전 연구 : 최종보고서

  • 2014년 동북아시아 생물 다양성 보전 연구 : 한국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동북아시아 분포현황

  • 2014년 동북아시아 생물 다양성 보전 연구: 국가별 세부추진계획 및 보전정책지원 전략보고서

  • 국립생물자원관 지식재산권 관리 및 기술이전 전략 수립

  • 국립생물자원관 지식재산권 관리 및 기술이전 지원 업무 지침서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건립기본계획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전시(체험시설) 기획 및 콘텐츠 개발 연구

  • 도심 출몰 멧돼지 포획관리제도 구축 연구

  • 멸종위기 기각아목 포유동물의 분포 서식실태 및 회유경로 연구

  • 산업별 수입대체 생물자원 근연종 발굴(I) : 자생식물자원의 아로마 물질 탐색 및 발굴

  • 생물다양성과 비즈니스의 경제학 관련 연구

  • 생물산업 원천소재 활용성 증대를 위한 야생생물 유전자원 확보 (2014년)

  • 생물자원 발굴·분류 기반 구축을 위한 발아 특성 연구 (1단계 3차년도)

  • 영남지역의 준분류학자를 통한 관속식물 표본 확보

  • 유용조류현황 파악 및 배양기법 연구

  • 자생생물 조사 발굴 연구(3단계 3차년도, 육상식물 분야)

  • 자생생물 조사 발굴 연구 (3단계 3차년도, 조류분야)

  • (유형?)자생생물 종합 정보 구축 방안

  • 주요 야생생물 유전자원의 장기보존기법 개발 (2차년도)

  • 중부지역의 준분류학자를 통한 관속식물 표본 확보

  • 한국 적색자료집 발간 연구 최종보고서(거미 분야 적색자료집 발간 및 적색목록집 영문판 개정)

  • 향토 식재료 야생화 발굴 및 특성 분석

  • 호남지역의 준분류학자를 통한 관속식물 표본 확보

  • 2015

  • 2015년 한반도 주요생물군 계통수 작성-한반도 서식 고하목의 계통수 작성 및 DNA바코드 연구 (1차년도) 최종 결과보고서

  • 2015년 해외 전통지식 생물자원 발굴 연구

  • 겨울철 자생 조류(藻類) 조사.발굴 및 표본 확보

  • 국가 생물자원 인벤토리 구축-무척추동물 종 목록집 발간 사업(무척추동물-Ⅵ,Ⅶ)

  • 균류 종목록 검토 및 목록집 발간

  • 나고야의정서 대응 생물산업계 지원 및 컨설팅 사업

  • 나고야의정서 대응 생물자원 및 전통지식 활용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과제

  • 나고야의정서 대응을 위한 국내 생물종의 지식재산(활용정보) 조사·분석 연구(3차년도)

  • 난분해성 환경오염물질 정화 생물자원 탐색 1차년도

  • 독도 생물주권 확립을 위한 종합 인벤토리 구축사업 1차년도

  • 독도 자생식물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유전자 분석 연구

  • 독 유래 항균력이 강한 기능성 물질 개발(곤충분야) 1단계 2차년도)

  • 멸종위기종 소똥구리 증식·복원 연구-2차년도 결과보고서

  • 미세조류 종목록 검토 및 목록집 발간

  • 사육을 통한 한반도 주요 자생 나방의 유충 동정 및 표본 확보(IV)

  • 생물다양성 활용 기반 구축을 위한 생물종 증식 배양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2차년도)

  • 생물산업 원천소재 기원판별(동물분야-1차년도) 최종 결과보고서

  • 생물산업 원천소재 기원 판별 (식물분야 1차년도) 최종보고서 :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 관리 기반 구축 사업

  • 생물자원 발굴 및 분류 연구 중·장기 계획 수립 사업

  • 성과중심 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 야생 자원동물의 유전자(체) 다양성 연구_1년차

  • 야생 자원식물의 유전자(체) 다양성 연구_1년차

  • 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자원 배양체 확보-2차년도

  •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 모델 개발(4차년도)

  • 자생거미류의 기능성 소재 탐색(1차년도)

  • 자생 생물자원의 유전자 다양성 연구(동물분야)

  • 자생생물 유용성 연구 로드맵 수립(I) : 자생생물 유용성 정보 수집·분석 사업

  • 자생생물 유용성 연구 로드맵 수립(II) : 자생생물 유용성 등급화 및 연구 종합계획 수립

  • 자생생물 전통지식의 통계·분석 연구(2차년도)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사업 4단계 1차년도 - 균류 분야 - 최종보고서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곤충 분야)-4단계 1차년도 결과보고서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관속식물 분야) 4단계 1차년도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무척추동물 분야-4단계 1차년도 결과보고서

  • 자생생물 조사 발굴 연구(4단계 1차년도, 원핵생물분야)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조류 분야-4단계 1차년도

  • 자생생물자원 유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친화형 소재 탐색 1차년도

  • 전통누룩 유래 자생 미생물자원 배양체 확보 및 유용성 탐색 연구(Ⅲ)

  • 전통문헌 생물지식 조사 연구

  • 전통문헌 생물지식 해제집

  • 제2차 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 종합 계획(16~20) 수립 연구

  • 진균 유래 천연 식물보호활성 물질 탐색(2차년도)

  •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 4단계 1차년도-관속식물 분야

  •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 4단계 1차년도-무척추동물 분야 최종 결과보고서

  •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 4단계 1차년도-선태류 분야

  • 한국 생물지 발간(곤충분야) 연구사업 4단계 1차년도

  •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 (조류, 균류분야) : 3단계 3차년도

  • 한반도 생물자원 유전자 연구 로드맵 수립-유전자 정보 집대성 DB구축(1차년도)

  • 한반도 자생 무척추동물의 계통수 작성 및 DNA 바코드 연구 2차년도

  • 한국 생물지 발간(곤충분야) 연구사업 4단계 1차년도

  • 해외활용사례 생물종의 근연종 발굴

  • 해조류 유래 올리고당의 대사 기능성 탐색(1차년도)

  • 현장 활성측정법을 이용한 갯벌 및 유류오염토양 정화용 고효율 신규 미생물자원 발굴-3차년도

  • 홍조류 및 녹조류 유전자원 관리를 위한 계통수 작성 및 DNA 바코드 연구 2단계 1차년도

  • 환경친화적 수산화지방산 생산 자생 미생물자원 발굴-3차년도

  • 천연물은행 운영을 위한 야생 생물자원 생리활성 평가(2단계 2차년도)

  • 2014년 동남아시아 생물다양성 보전·연구

  • 2016

  • 2016년 해외 전통지식 생물자원 발굴 연구

  • 2016년 해외 생물다양성 보전 연구

  • 겨울철 자생생물 조사.발굴 및 표본 확보

  • 국내 자생생물 독성물질의 상용화 소재개발 연구 1년차

  • 국내 자생생물 유래 환경성 질환 억제 소재 탐색 1차년도

  • 국립생물자원관 발굴 자생미생물의 오염토양 정화 특성 연구

  • 국립생물자원관 야생생물자원연구동 기본계획 수립

  • 나고야의정서 국제 이슈 분석 연구(1차년도)

  • 나고야의정서 대응 생물산업계 지원 및 컨설팅 사업(2차년도)

  • 난분해성 환경오염물질 정화 생물자원 탐색 2차년도

  • 독도 생물주권 확립을 위한 종합 인벤토리 구축 사업 2차년도

  • 독도 자생식물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유전자 분석 연구(2차년도)

  • 멸종위기 어류 대량증식을 위한 줄기세포 적용연구 1차년도

  • 멸종위기종 곤충(나비목)의 증식·복원을 위한 기초연구

  • 멸종위기종 산굴뚝나비의 종 및 서식지 보전‧복원 연구(III)

  • 멸종위기종 소똥구리 증식·복원 연구 3차년도

  • 멸종위기종 조사 및 관리체계 개선 연구

  • 사전통보승인(PIC) 국내 이행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3차년도)

  • 식식성 및 기생성 벌류의 신종·미기록종 발굴

  • 야생동물 실태조사 개선방안 연구

  • 야생 미생물의 이용을 위한 안전성 평가지침 연구

  • 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자원 배양체 확보 3차년도

  •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 모델 개발(5차년도)

  •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 정보관리 연구(1차년도)

  • 자생 동물자원의 유전체 분석 연구-1차년도

  • 자생 생물자원의 유전자 다양성 연구(동물분야-2차년도)

  • 자생 생물자원의 유전자 다양성 연구(식물분야)-2차년도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곤충 분야)-4단계 2차년도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관속식물분야) 4단계 2차년도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균류 분야-4단계 2차년도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무척추동물분야) 4단계 2차년도

  •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 원핵생물 분야-4단계 2차년도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조류 분야-4단계 2차년도

  • 전통누룩 유래 자생 미생물자원 배양체 확보 및 유용성 탐색 연구(IV)

  • 한국 생물지 발간(곤충분야) 연구사업(4단계 2차년도)

  • 한국생물지 발간사업 관속식물분야 4단계 2차년도

  • 한국 생물지 발간(무척추동물분야) 연구 4단계 2차년도

  • 자생생물 유래 천연 식물보호 활성 물질 탐색 1차년도

  • 해조류 유래 올리고당의 대사 기능성 탐색(2차년도)

  • 2017

  • 2017년 나고야의정서 당사국회의 대응 및 의제분석에 관한 연구

  • 2017년 나고야의정서 당사국회의 대응 및 의제분석에 관한 연구

  • 국가생물종 국명 영명 부여 (곤충)

  • 국가 생물종(무척추동물-곤충제외) 국·영명 부여 및 국제동물명명규약 한글판 발간

  • 국가 생물종 국명 부여(균류․조류(藻類)분야)

  • 국내 자생생물 독성물질의 상용화 소재개발 연구(2차년도)

  • 국내 자생생물 유래 환경성 질환 억제 소재 탐색(2차년도)

  • 국립생물자원관 미래발전 종합계획 수립 연구

  • 나고야의정서 당사국 동향연구(1차년도)

  • 나고야의정서 대응 국내이용자인식제고(2단계 1차년도) 최종보고서

  • 독도 생물주권 확립을 위한 종합 인벤토리 구축 사업(3차년도)

  • 독도 자생식물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유전자 분석 연구(3차년도)

  • 생물자원 활용 (예비)사회적기업 창업 모델개발 및 시범운영 계획 수립

  • 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자원 배양체 확보(4차년도)

  • 외국도입 독성 시험생물 대체 자생종 발굴 로드맵 마련

  •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법률안 후속조치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