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40페이지 내용 : 제3, 4배다리를 가진 종도 있다. 암컷은 제25배다리를 가진다. 꼬리마디의 끝부분은 둥글다. 모식종Bernhardus tenuimanus Dana, 1851. 종 수3종 한국1종 11. 오목손참집게 Elassochirus cavimanus Miers, 1879 그림 12, 도판 9 Eupagurus cavimanus Miers, 1879, p. 21, 48, pl. 3, fig. 1 type localityTsugaru Strait, 41° 40′N, 141° 10′E Eupagurus gotoi Terao, 1913, p. 366, text-fig. 2 type localityAomori, Japan Elassochirus cavimanusMcLaughlin, 1974, p. 320, figs. 85-87 see full synonymy ; Miyake, 1978, p. 124; 1982, p. 133, pl. 44, fig. 6; Asakura, 2006, p. 48, figs. 60, 61; Kim and Son, 2006, p. 64, unnumbered fig.; Komatsu and Komai, 2009, p. 591, fig. 2b; McLaughlin et al., 2010, p. 29. 갑각앞부분 너비가 길이보다 다소 넓거나 혹은 길이가 너비보다 약간 길다. 이마뿔은 뾰족하거나 혹은 뭉툭한 삼각형이며, 넓은 삼각형인 옆돌기보다 길다. 눈자루는 갑각앞부분 길이보다 짧으며, 작은더듬이 자루는 길어서 그 끝마디의 절반 정도가 눈자루의 끝에 이르며, 더듬이 자루는 전반적으로 짧아서 눈자 루 길이와 같거나 약간 더 길다 그림 12A 오른쪽 집게다리는 왼쪽 집게다리보다 크고, 제2, 3가슴다리보다 길다. 오른쪽 집게다리의 가동지는 손 바닥보다 약간 길며, 등면에는 확실한 세로로 된 골이 있고, 손바닥의 등면은 볼록하고 아무런 돌기가 없 으며 양 옆쪽 모서리는 편평하다. 오른쪽 집게다리의 발목마디는 옆쪽으로 납작해서 날개의 형태로 뻗 어 있고, 손바닥보다 넓으며, 등면은 볼록하고 1줄의 작은 가시 혹은 소극이 중앙부위에 있다 그림 12B 왼쪽 집게다리의 집게는 강하게 안쪽으로 꺽여 있으며, 가동지는 손바닥보다 길고 가늘다. 왼쪽 집게다 리의 손바닥과 부동지의 등면은 움푹 들어가 있으며, 양 모서리는 강하게 솟아있다 그림 12C 제2, 3가 슴다리의 발가락마디는 등면과 아래면에 강한 가시를 가지며, 앞마디의 등면에는 아무런 가시가 없으며, 발목마디에는 등면에 일련의 작은 가시가 있다 그림 12D, E 꼬리마디는 비대칭이며, 각 엽은 삼각형이 며, 끝부분에 작은 가시를 가진다 그림 12F 체색갑각앞부분은 전반적으로 오렌지 혹은 딸기색을 가진다. 눈자루는 오렌지색이다. 작은더듬이 채찍은 오렌지색 점이 흩어져 있다. 집게다리는 앞마디와 발목마디에 오렌지색 모서리를 가진 보라색이 며, 집게는 연한 오렌지 혹은 보라색이다. 걷는다리는 보통 흰색 점을 가진 붉은색 혹은 오렌지색이며, 발가락마디는 갈색이다 도판 9 분포한국, 일본, 극동러시아, 베링해, 알류산열도, 알라스카만, 브리티시 콜롬비아, Cobb 해저; 수심 36400 m. 국내분포강원. 관찰표본강원1♀ 갑각앞부분 길이 9.2 mm 삼척, 조망12.x.2012 32 한국의무척추동물·집게류

페이지
책갈피 추가

41페이지 내용 : 범배아목참집게과오목손참집게속 33 A B C D E F A C B D, E F 그림 12. 오목손참집게 Elassochirus cavimanus, 암컷 갑각앞부분 길이 9.2 mm A. 갑각앞부분과 두부 부속지, 등면; B. 오른쪽 집게다리, 등면; C. 왼쪽 집게다리, 등면; D. 오른쪽 제2가슴다리, 옆면; E. 왼쪽 제 3가슴다리, 옆면; F. 꼬리마디. 축척A, CE=1.5 mm, B=2.0 mm, F=1.0mm.

탐 색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