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운영기관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언론을 통해 발표하는 보도자료입니다.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유전자원=경쟁력’, 제주 자생생물 이용정보 2,300건 확보
등록자 국립생물자원관
등록일 2012.02.08 조회수 4612

 

유전자원=경쟁력’, 제주 자생생물 이용정보 2,300건 확보



◇ 해조류, 균류, 식물, 동물 등에 대한 이용정보 2,300여건 확보
◇ 나고야 ABS의정서 채택에 따른 생물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의 국가 대응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나고야 ABS의정서 채택 이후 각국의 생물 주권행사가 활발해진 가운데, 다양한 유전자원 지식이 확보되며 국가생물자원 확보에 힘을 더하게 됐다.

□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안연순)은 「자생생물의 전통지식 조사·연구」사업(2011.4.~12., 세명대학교 강신호 교수)을 통해 한라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제주도 내륙과 해안지역에서 오랫동안 구전(口傳)되고 경험해온 자생생물에 대한 전통활용 지식 2,300여건을 확보했다고 6일 밝혔다.
 ○ 이 사업은 제주도 지역의 자생생물 전통지식을 신속하게 확보·관리해 생물 산업 활용에 필요한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 제주도 지역 뿐 아니라 제주 출신자(재일교포)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는 일본 츠루하시 지역을 조사하는 등 폭넓게 추진됐다.
 ○ 조사는 제주도 지역 113개 마을과 6개 전통시장, 우도 및 츠루하시 2개 전통시장 등에서 탐문조사와 채집을 병행해 실시됐다.
  - 아울러, 제주도 각 지역의 마을이장, 부녀회장, 노년층과 인터뷰를 진행해 신뢰성 있는 전통지식을 확보했다.

□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과거 생물이용에 대해 조사․연구한 결과, 조류 110종 260여건, 균류 24종 110여건, 식물 360종 1,660여건, 동물 64종 270여건 등 총 2,300여건의 정보가 수집됐다.
 ○ 특히, 분류군별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것으로 조사 결과 확인됐다.
  - 대표적인 사례로, 식물인 까마중은 열매와 줄기를 고름이 나는 종기부위에 사용했고, 동물인 두툽상어는 기름으로 등잔을 켜는 데, 균류 중 흰독큰갓버섯은 곤충퇴치용으로 쓰였다.

□ 아울러, 제주도는 지역에 따라 문화적인 차이뿐만 아니라 자생생물에 대한 쓰임새 또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미나리의 경우 서귀포시 지역에서는 나물 반찬으로 식용하고 있는 반면, 제주시 지역에서는 독버섯 등을 해독할 때 이용한다.
 ○ 예덕나무는 제주 동쪽에서는 ‘다근죽낭’이라 부르며 동물사료로 사용하는 반면, 서쪽은 ‘북닥낭’으로 부르며 약용으로 써 제주도 동서 간 지역별, 식물의 이용방법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우도에는 본섬과 달리 바다에서 생산되는 재료들을 이용한 의례음식들이 많아 저립(잿방어), 상어, 소라, 문어, 전복 등을 꼬챙이에 꿰어 구운 형태로 요리(적(炙))해 제사상에 올리고 있었다.

□ 또한, 일본 츠루하시 지역의 경우는 지리적 격리로 인해 제주도 출신자들이 과거 전통지식과 문화를 계속 답습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 과거 제주에서 많이 볼 수 있었던 상애떡, 기름떡, 돼지간전 등을 제주전통방식으로 만들어 조사대상 가정의 제례상에 올리고 있었으며, 지역시장에서도 판매되고 있었다.
 ○ 약모밀을 이용한 화장수, 쑥찜을 이용한 티눈 치료 방법 등 1세대가 행했던 방법을 전통지식 그대로 전승해 2세대가 지금도 이용하고 있는 내용들도 확인됐다.
  - 특히, 이들은 제주 지역에서는 조사되지 않았으나 일본에서 특이하게 조사돼 의미를 더했다.

□ 국립생물자원관은 향후 확보된 자생생물에 대한 전통활용 지식을 나고야 ABS의정서 채택에 따른 생물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의 관리 및 유지 등 국가 대응책 마련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 천연의약품, 천연색소, 천연향료, 천연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필요한 신물질 탐색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앞으로 다가올 유전자원 확보경쟁에 대비하기 위해 2012년에는 한려해상과 가야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전통지식들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한편 유전자원의 조사 및 확보를 병행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제적으로 발효예정인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의정서(ABS)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붙임 : 전통지식 조사 사진 자료. 1부. 끝.

첨부파일

문의사항

  • 담당부서국립생물자원관
  • 연락처032-590-7000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