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통
제목 | 우리나라 찾는 도요새 56종 81.5만 마리… 2015년 대비 67% 늘었다 | ||
---|---|---|---|
등록자 | 전략기획과 | ||
등록일 | 2024.05.09 | 조회수 | 401 |
▷ 국민 참여 가락지 관찰로 알락꼬리마도요 및 붉은어깨도요의 수명 23년 이상인 것도 밝혀져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2015년부터 9년간 전국 20곳의 갯벌과 연안습지를 대상으로 도요새* 국내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에 도래하는 도요새가 총 56종 81.5만 마리에 이른다고 밝혔다. * 도요목의 도요과와 물떼새과 등에 속하는 물새류의 통칭 이는 도요새 개체수 현황 집계 연구를 시작한 2015년 48.9만 마리에 비해 약 67%가 늘어난 결과다. 지역별 도요새 연평균(2015년~2023년) 도래 개체수는 △유부도(15.8만), △아산만(5.9만), △남양만(5.8만), △장항해안(4.7만), △영종도(3.3만), △압해도(2.4만), △강화도(2.3만), △금강하구(2.2만) 순으로 많았다. 국내에서 관찰된 도요새 56종 중에서 40종 이상은 러시아, 중국 북부, 알래스카에서 번식하고 동남아, 호주, 뉴질랜드에서 겨울을 나기 위해 봄과 가을 우리나라를 거쳐 간다. 개체수가 많은 종은 △민물도요(19.8만), △붉은어깨도요(5.1만), △큰뒷부리도요(4.5만), △알락꼬리마도요(4.1만), △개꿩(3.5만)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최근 5년(2019~2023)간 해외에서 가락지가 부착된 도요새 18종 884건을 우리나라에서 관찰해 호주, 러시아, 뉴질랜드 등 연구 협력 국가들과 공유하는 과정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알락꼬리마도요와 붉은어깨도요의 수명이 23년 이상인 것을 최초로 확인했다. 해외에서 가락지가 부착된 884건 중에서 국립생물자원관 가락지 정보 수신 이메일(kbbs1184 @gmail.com)과 철새정보시스템 가락지 발견보고*를 통한 제보가 760건(86%)에 달해 도요새의 이동경로를 밝히는데 국민의 기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전문정보서비스-철새정보시스템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5월 11일 세계 철새의 날을 맞아 국가철새연구센터를 주축으로 국제기구와 도요새 보호 및 서식지 관리정책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며, “가락지가 달린 도요새를 관찰하면 ‘철새정보시스템 가락지 발견보고’에 제보하여 도요새 이동경로 연구와 보호에 동참해 주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붙임 1. 도요새 도래현황(‘15~‘23). 2. 도요새 가락지 재관찰 건수(‘19~‘23). 3. 도요새 가락지 부착 모습 및 수명. 4. 철새정보시스템 ‘가락지 발견보고’ 접속 안내. 5. 질의응답. 6. 전문용어 설명. 끝.
|
|||
첨부파일 |
문의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