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통
제목 | (참고)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화학물질안전원, 책임운영기관 종합평가 최고 등급(S) 선정 | ||
---|---|---|---|
등록자 | 전략기획과 | ||
등록일 | 2025.04.24 | 조회수 | 190 |
▷ 생물다양성 전략 이행 및 화학안전 강화 등 공공서비스 혁신성과를 높게 평가 환경부 소속기관인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과 화학물질안전원(원장 박봉균)은 행정안전부가 전국 47개 책임운영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도 책임운영기관 종합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등급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책임운영기관은 인사·조직·예산 등의 운영에 있어 자율성을 대폭 부여받고 그 성과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는 행정기관 유형*이며, 환경부 소속기관 중에서는 국립생물자원관과 화학물질안전원이 포함되어 있다. * 조사 및 품질관리(6개), 연구(13개), 교육훈련 및 문화(13개), 의료(9개), 시설관리 및 상담(6개) 등 5개 유형, 총 47개 기관으로 구성 이번 평가에서는 기관의 고유사업 실적과 관리역량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상위 7개 기관이 에스(S)등급에 선정되었는데, 국립생물자원관은 2년 연속, 화학물질안전원은 3년 연속으로 ‘에스(S)등급’을 받아 책임운영기관으로서의 운영 효율성과 혁신 역량을 높게 인정받았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24년 ‘과학기반 생물다양성 정책을 선도하는 글로벌 생물자원 허브’라는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고, 생물주권 확보 연구 고도화 및 생물다양성 과학당국으로서의 기능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자생생물 1천여 종의 효능 예측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맞춤형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 사례는 2024년 행정안전부 주관 ‘서비스혁신 공유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업무혁신 성과를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 화학물질안전원은 ‘국민이 신뢰하는 화학안전 선도기관’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 화학안전 민관 협력체계(거버넌스)를 구축하고, 국가첨단산업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사전위험성평가 등을 통해 화학사고 예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사업추진 과정에서도 시민사회, 산업계, 지자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기술지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정책 실행력을 높이고자 노력해왔다. 특히 화학사고 대응 매뉴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2024년 위기관리 매뉴얼 경진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였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결과는 책임운영기관 제도의 취지대로 조직과 개인의 유기적 성과목표 아래 협력하여 일궈낸 값진 결과이며, 향후 생물다양성 관련 인공지능(AI) 기반 연구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박봉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면서 화학물질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현장 중심의 정책과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관련 사진. 끝.
|
|||
첨부파일 |
문의사항